본문 바로가기
320x100

경제적 자유, 투자 공부22

[미국주식] 서울 대장 아파트 vs 미국주식 투자 어떤 게 더 좋은 선택일까?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최근 주변 사람들과 많이 토론 하는 내용입니다.주식 투자하지 말고 대출 받아 아파트를 사는 것이 나을까요?1. 부동산아파트를 투자한다면 장점은 레버리지를 끌어쓸수 있다는 것입니다.1억을 가지고 있어도 보통 5배 정도 대출받아 6억 집을 살 수 있습니다.이 6억을 다시 전세를 준다면 실제로는 3억정도를 대출 받아 사는거구요.3억에 대한 이자는 4.5%로 계산 잡아보았을 때, 1350만원/년, 112.5만원/월을 내야 합니다.집값이 10년간 70% 올랐다고 가정해봅시다.나는 1억을 투자했고, 집의 가치는 10억 5천입니다.부동산으로 번 금액은 9억 5천이고, 대략 1억 5천을 이자 및 취득세로 들어갔다고 봅니다.실제로 번금액은 8억 가량 됩니다.2. 미국 주식 QQQ 투자주식투자를 .. 2025. 5. 25.
[미국주식] 내가 미국장기채권을 투자하지 않는 이유 (Feat. SPY, 채권, SGOV, 현금, TLT)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SPY, QQQ,SCHD 위주로 투자를 하고 있구요.워렌버핏을 존경합니다 ㅎㅎ워렌버핏이 한 유언 중, 아내에게 "내가 죽으면 S&P500에 90%, 미국채권에 10% 투자해라"라는 말이 있었죠.여기서 말하는 미국 채권은 단기채입니다.단기채는 4~5%의 배당을 주고, 가격이 거의 변동없이 안정적입니다.적금이자 높은 현금을 들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하지만 장기채의 경우, 3%대의 배당을 줍니다. 그리고 장기 우상향 하는 주식이 아니에요.장기채보다 현금을 가지고 있는게 낫습니다.시대가 많이 바뀌어서 다시 저금리 시대가 올지는 불확실합니다.지금도 몇년간 고금리, 달러강세 시대가 지속되어 왔습니다.이 기간 동안, QQQ와 SPY는 계속해서 올랐습니다.TLT의 경우, 우하향하는 그래프를.. 2025. 5. 23.
[국내주식동향] 크래프톤, 카카오게임즈로부터 넵튠 인수 🔹 주요 내용:크래프톤이 카카오게임즈의 관계사인 넵튠 지분 39.37%를 1,650억 원에 인수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기존 보유 지분(3.16%)을 포함하면 최종 지분율은 42.53%가 된다. 인수는 2025년 6월 30일 완료 예정이다.🔹 거래 배경 및 전략:카카오게임즈: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넵튠 지분을 매각. 글로벌 게임사업(PC, 콘솔 등)에 역량을 집중. 최근 비게임 자회사도 매각하며 포트폴리오 재정비 중.크래프톤: 게임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가 목표. 이미 ‘배틀그라운드’ 기반으로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자금 여력과 M&A 능력을 보여줌.🔹 넵튠 소개:대표 게임: ‘무한의 계단’, ‘우르르 용병단’2024년 실적: 매출 1,216억 원, 영업이익 96억 원창.. 2025. 4. 30.
[2편] 엔카에서 좋은 중고차 매물 고르는법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엔카에는 중고차 매물이 많은데, 그중에서 좋은 매물 고르는 법을 소개해 드립니다.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엔카에는 중고차 매물이 많은데, 그중에서 좋은 매물 고르는 법을 소개해 드립니다.1. 일단 성능기록부/보험이력/차량 이력 공개 모두 체크된 차량을 고르세요!이 자동차가 어떤 인생을 살아 왔는지 꼭 체크해보셔야 합니다.소유자가 자주 바뀌었다면 문제가 있을 차일 확률이 높습니다!보험이력이 많은 것도 사고난 부위가 많으니 멀쩡한 차가 아닐 확률이 높아요.1인 사용/무사고 차량을 우선으로 고르셔야 합니다.1인 또는 많아야 2인 정도를 고르시면 되고, 보험이력도 100만원 밑으로 횟수 적은 걸 추천 드립니다.차량상태도 교환/판금 이력이 없고, 단순 교환 이력 있는 것도 X딱 앞뒤 범퍼.. 2025. 4. 18.
[1편] 중고차 구매를 하려면 엔카 vs 케이카?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중고차를 구매할 때, 가장 알려진 사이트는 엔카와 케이카입니다.이 둘중에서 어떤거를 사용하는게 좋을까요?결론적으로 저는 중고차 구매 시, '엔카'를 사용하였습니다.1. 매물이 많다.2. 가격이 좀더 저렴하다.3. 7일동안 구매 후 타보면서 결정 가능 (케이카는 3일)상사 or 딜러와 직접 거래하고, 중개 사이트로 엔카를 사용한다.케이카는 직영이라 가격이 더 비싼데, 안정적이라고 한다. (판매한다고 케이카 직원이 크게 돈을 벌지 않는 구조)케이카는 매물이 워낙 적어서, 아무리 좋은차를 찾아도 금방 나가기 마련이다.그리고 엔카 매물을 보다보면, 중고차라 돈 100만원 더 주고 케이카에서 사기 아깝다는 생각 들 때도 있다.좋은 매물은 금방 나가니까 엔카로 필터링 해서 외판 뼈따구 멀쩡.. 2025. 4. 15.
SPY S&P500 2년 투자 수익률 후기 (Feat. 장기투자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저는 미국주식 ETF 위주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고, 가장 유명한 SPY를 처음 먼저 투자했습니다.각종 개별주를 투자해보다가 결국 유망한 개별주들을 모아 관리해주는 ETF가 바쁜 직장인에게 훨씬 적합하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개인 투자자가 기관, 외국인의 막대한 거래량을 예측할수도 없습니다.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싶으면 흔들리지 않고 ETF 장기투자가 답입니다.처음 매수한 SPY 주식은 2년 전, 592,850원입니다.시간이 지나면 장기투자 수익률이 궁금해서 건드리지 않고 계속 추적관찰 중입니다.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22년 11월로부터 약 2년이 지난 지금, 수익률이 70%를 넘어갑니다.최초 구매로부터 2년 2개월이 되었으니, SPY 1년 평균 수익률을 계산해보면 32%가 나옵니다.계.. 2025. 1. 31.
국내 증권 상장 S&P 500 수수료 비교 (24년 11월 기준)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ISA 계좌를 통해 절세 한다면 국내 상장 S&P500에 투자하는 것이 미국 직투보다 더 좋습니다.회사마다 수수료가 달라 실질부담비용이 낮은 회사의 상품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저는 RISE 미국 S&P500에 투자하고 있고, 실질 부담비용이 0.15%로 낮습니다.장기투자시에는 수수료%에 따라 내야하는 수수료 총액 차이가 늘어나므로수수료가 저렴한 회사의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더 수익률이 높습니다.ETF 명칭운용사총보수 (TER)실질부담비용자산총액 (억 원)상장일ACE 미국S&P500한국투자신탁운용0.14%0.17%14,2122020.08.07PLUS 미국S&P500플러스자산운용0.39%0.60%1702022.05.31PLUS 미국S&P500(H)플러스자산운용0.41%0... 2025. 1. 18.
S&P 500에 대하여 (워렌버핏이 사랑한 ETF) S&P 500: 미국 주식 시장의 대표 지수"내가 죽은 뒤 아내에게 남겨진 돈은 국채 매입에 10%를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전부 S&P 500 인덱스펀드에 투자하라고 썼습니다." - 워렌 버핏1. S&P 500이란?S&P 500(Standard & Poor's 500)은 미국 주식 시장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로,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에 상장된 500대 기업의 주식을 포함합니다. 이 지수는 미국 경제와 주식 시장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척도로 사용되며,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벤치마크 지수 중 하나입니다.2. S&P 500의 특징시가총액 가중 방식: S&P 500은 포함된 각 기업의 시가총액에 비례하여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즉, 애플(AAPL), 마이크로소프트(.. 2025. 1. 18.
미국 투자 vs ISA계좌를 활용한 국내 투자 (SCHD, TLT, QQQ, 미국주식) 안녕하세요, 공알지입니다.미국 ETF에 투자를 하시는 분들이 궁금해하시는게 국내증권사를 통한 투자와 미국 ETF에 직투 하는 것중 어떤 것이 더 좋을까입니다.일반적으로 국내 상장된 미국 ETF는 수수료가 더 높습니다.실제 보수는 총보수 뿐만이 아니라 숨어져 있는 회사보수와 총보수 비용을 더해야 합니다. 예시로 제가 좋아하는 Schd 한국판의 총 수수료를 알아보겠습니다.금융투자협회에 들어가시면 ETF별 수수료를 비교해볼 수 있는데요.Tiger 미국 배당 다우존스는 총보수 0.01+기타비용 0.07+매매중개수수료 0.0697를 다 더한 0.1497%가 됩니다. 미국 직투 수수료 0.06%에 비하면 약 2.5배로 상당히 높게 느껴집니다.수수료만 비교해보면 당연히 미국직투를 해야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저는 .. 2024.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