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가이드 (PC 기준)
1️⃣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홈택스 바로가기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합니다.
💡 로그인 후, 맞춤형 신고 안내 팝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당 팝업을 통해 바로 신고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진입
- 상단 메뉴에서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를 선택합니다.
- [일반신고] 또는 **[모두채움 신고]**를 선택합니다.
💡 모두채움 신고는 국세청이 보유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고서를 자동으로 작성해주는 서비스입니다. 해당 대상자는 보다 간편하게 신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기본 정보 입력
- 주민등록번호 및 연락처 등의 기본 정보를 입력합니다.
- 입력 후, [저장 후 다음 이동] 버튼을 클릭합니다.
4️⃣ 소득 내역 확인 및 수정
- 국세청이 제공하는 소득 내역을 확인합니다.
- 누락된 소득이 있을 경우, **[소득 추가]**를 통해 직접 입력합니다.
- 필요시, 경비율 및 공제 항목 등을 수정합니다.
💡 모두채움 신고 대상자의 경우, 대부분의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어 확인만으로 신고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5️⃣ 세액 계산 및 납부 방법 선택
- 자동으로 계산된 세액을 확인합니다.
- 납부 방법을 선택합니다:
- 계좌이체
- 신용카드
- 간편결제 등
💡 납부는 홈택스, 카드로택스, 인터넷지로 등을 통해 가능합니다.
6️⃣ 신고서 제출 및 접수증 확인
- 모든 정보를 확인한 후, [신고서 제출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신고 완료 후, 접수증을 출력하거나 저장합니다.
📱 모바일(손택스) 신고 방법
- 손택스 앱을 설치 후, 로그인합니다.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를 선택합니다.
- 이후 절차는 PC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 참고 영상
더 자세한 절차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이슈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자의 날 헷갈리는 점 정리 (공무원, 학교, 5인 미만 사업장, 유급휴일, 수당) (0) | 2025.05.01 |
---|---|
2025년 기준 종합소득세 신고 가이드 (24년 소득에 대한) (1) | 2025.05.01 |
유심 해킹 대처방법 (유심보호서비스, PASS, 유심 vs 이심) (2) | 2025.04.28 |
댓글